안녕하세요~
널스지니입니다^^
요즘...
친구들을 만나도
사회 친구를 만나도
항상 묻는 게 있습니다.
"넌 MBTI가 뭐야?"
MBTI 중에서도 부자가 많은 MBTI가 있다는 뉴스를 듣고
오늘은 슈퍼리치의 MBTI를 분석해 보았습니다^^
슈퍼리치의 1인당 평균 자산은 323억!!
헉
헉
'헉'소리 나는 금액이네요^^
국내 초고액 자산가의 평균 총자산은 323억 원에 달하고,
금융자산의 60%를 현금 및 예금으로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
(멋지다!!)
2022년 말 기준 금융자산 100억 원 이상 또는
총 자산 300억 원 이상을 보유한 슈퍼 리치의
1인당 평균 총자산은 323억 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출처 :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슈퍼 리치의 연평균 소득은 2021년(15억 7000만 원)보다
3억 4000만 원 감소한 12억 3000만 원으로 조사됐으며,
이 중 재산소득 비중이 39%로 가장 컸습니다.
슈퍼 리치의 직업 중
기업 경영자가 29%
의료, 법조계 전문직이 20%
슈퍼 리치가 가장 많이 사는 곳은
서울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순이었습니다.
성격유형 검사인 MBTI로 특징을 분석한 결과
슈퍼 리치 중에서 'ESTJ'(외향형, 감각형, 이성적, 계적)가 가장 많았습니다.
일반 대중 사이에 ESTJ 비율은 8.5%로 알려졌지만,
슈퍼 리치 중에서는 26.8%로 ESTJ형이 많았습니다.
MBTI는 성격유형에 따라 좋아하는 것, 관심 있는 분야가 다르기에
알아두시면 인간관계, 연인관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입니다.
MBTI는
Myers-Briggs Type Indicatior의 약자로
스위스의 정신분석가
카를 융의 심리유형론을 근거로
Kathearine C. Briggers와
딸 Isabel B. Myers가 개발한 성격유형 선호지표입니다.
MBTI는 다음과 같은 4가지 분류 기준에 따른 결과에 의해
16가지 심리 유형 중에 하나로 분류합니다.
정신적 에너지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외향-내향(E-I) 지표
정보 수집을 포함한 인식의 기능을 나타내는 감각-직관(S-N) 지표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결정 내리는 사고-감정(T-F) 지표
인식 기능과 판단 기능이 실생활에서 적용되어 나타난 생활양식을 보여 주는 판단-인식(J-P) 지표
오늘은 16가지 성격 유형의 대표적인 특성 중
ESTJ에 대해 알아보려 해요!!
ESTJ는 엄격한 관리자(=경영자)로
체계적으로 일하고, 규칙을 준수하며,
사실적 목표 설정에 능합니다.
ESTJ 특징
ESTJ의 특징은 자신들의 생각에 비추어 옳고 그른지를 따져
사회적 통념이나 전통 등 질서를 정립시킨다고 합니다.
현실감각이 뛰어나 일을 조직하고 계획하여 추진시키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또, 정직하고, 헌식적이며 군중을 단결시키는 힘이 있습니다.
말을 가볍게 하지 않으며 한번 한 말은 지키려 하고,
성취하기 어려운 일도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 실행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약속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동업자나 직원의 무능력함, 태만 등을 용납하기 어려워합니다.
ESTJ 연애
정서적 표현보다 의견 나누기를 선호하는 ISTP와 궁합이 잘 맞고,
계획적인 셩격인 ISFP도 궁합이 잘 맞답니다.
솔직 담백한 스타일이며,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데이트를 선호해요.
열정적으로 마음을 표현하는 특징이 있으며, 가정에도 충실한 유형이랍니다.
ESTJ 팩트 체크
유형별 특징을 알고,
인간관계에 적용해 보시면 좋을듯해요~
오늘은 ESTJ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