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널스지니입니다^^
오늘은 퇴행성 관절염으로 무릎 수술 이후
재활 중인 엄마에 대해 공부하는 마음으로
퇴행성 관절염에 대해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 퇴행성관절염이란? ]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생겨 염증과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 퇴행성 관절염의 원인 ]
관절부위의 외상
관절 과다사용
어긋난 모양으로 잘못 연결된 관절
과체중으로 관절과 연골에 과도한 부담이 있을 때 잘 생깁니다.
[ 퇴행성 관절염 증상 ]
관절염이 발생한 관절 부위의 국소적인 통증이 나타납니다.
관절 운동 범위의 감소, 부종, 관절 주위의 압통이 나타나며 관절 연골의 소실과
변성에 의해 관절면이 불규칙해지면 관절 운동 시 마찰음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무릎 관절염의 경우 관절 모양의 변형과 함께 걸음걸이에 이상이 보일 수 있고,
손가락 관절염의 경우 손가락 끝 마디에 헤버딘 결절이라고 불리는 골극이 형성되기도 합니다.
[ 퇴행성 관절염 진단/검사 ]
나이가 많은 사람은 어느 정도의 퇴행성 변화를 보이므로
다른 모든 질환을 제외시킴으로써 퇴행성 관절염의 추정 진단이 가능합니다.
확진은 관절경이나 수술 등을 통하여 퇴행성 변화를 직접 확인함으로써 가능합니다.
진단에는 단순 방사선 검사가 가장 유용합니다.
초기 정상 소견을 보일 수 있으나 점진적으로 관절 간격의 감소가 나타나며
연골 아래 뼈의 음영이 짙어지는 경화 소견을 볼 수 있습니다.
MRI는 동반된 연부 조직의 이상이나 관절 연골의 상태를 보는데 유용하고,
진단적으로 관절경을 시행하면 골 병변이 나타나기 이전에
연골의 변화와 상태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 퇴행성 관절염 경과 ]
연령이 증가하고 관절염이 진행될수록 방사선학적 변화 및
관절의 변형이 심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역시 증상의 심한 정도와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 퇴행성 관절염 예방법 ]
정상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체중이 부하되는 관절에 발생하는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에 필수적입니다.
무리한 동작의 반복 운동은 좋지 않으므로,
적당한 운동으로 근육을 강화하고 관절 운동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나이를 먹을수록 관절의 소중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관절을 튼튼하게 하기 위해
적절한 운동과 올바른 식습관으로 적정 체중을 유지해요!!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울 때 어지운 증상 이석증의 모든 것 (0) | 2023.04.06 |
---|---|
미세 먼지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 방법을 알아봐요 (0) | 2023.03.28 |
당뇨병에 대해 알아보고 증상, 혈당치, 당뇨 식사에 대해 공부해요 (0) | 2023.03.23 |
의학용어와 의학약어를 알아봐요 (0) | 2023.03.23 |
(정신건강의학과)우울증 극복 방법과 우울증 의심 증상을 알아봐요 (0) | 2023.03.23 |
댓글